미국 남장로교 고허번(H. A. Codington) 장로(광주기독병원장) 협동장로로 추대 (2)
사찰 박경남 집사 사임하고, 정돈근 집사가 부임 (3)
이경석 전도사 부임(4월), 사임(10월)
이도신 협동장로가 임시전도사로 사역 (7)
김기열 장로 소천으로 교회장 (8)
1966
이도신 장로를 협동장로로 추대 (1)
조차님 여전도사 부임 (2)
최준섭 장로 소천 (10)
한종구 원로장로 추대 (12)
1965
김광선 장로 서석교회로 이명 (1)
본 교회가 제출한 당회록을 제68회 전남노회가 분실하였음을 공표 (4)
한종구 장로 재취임
정신옥, 강대규, 한반석 장로 임직 (6.12)
박갑주 장로 방림교회로 이명 (7)
김선이 여전도사 사임 (12)
1964
제13대 박장원 목사 부임 (2.16)
교회당 헌당식 (6.21)
미국 남장로교 인도아(T. D. Linton) 목사를 협동목사로, 하종관 목사(호남신학교 교수)를 청년지도목사로 초청 (4)
김선이 여전도사 부임 (4)
1963
장동진 목사 사임, 미국 남장로교 인도아(T. D. Linton) 목사가 임시당회장을 맡다 (2.7)
1961
김오봉 장로 이명해오다 (1.15)
합동측(개혁)을 지지하는 교우들이 분리하여 기념각에서 예배 (4.23)
제1회 양림교회 하령회(청년회 주최) (7.25-28)
장맹섭 장로 근속 40주년 기념예배 (8.13)
김오봉 장로 취임 (11.26)
1960
양림교회는 독립을 유지하기로 결의 (3.11)
손두환 목사 사임, 장동진 목사가 담임목사로 부임 (3.11)
현 교회당 건축을 완공하고 입당(4월경), 교회 건축에는 본 교회 출석 미국 남장로교 부명광(G. T. Brwon) 목사(호남신학교 교장), 인도아(T. D. Linton) 목사(호남신학교 교수), 고허번(H. A. Codington) 장로(광주기독병원장). 유화례(F. Root) 여사(수피아여학교 교장 역임) 등 여러 선교사들이 물심양면으로 적극 협력하다)
1958
임병걸 장로 이명해오다 (1)
김오봉 장로를 협동장로로 추대 (3)
장동진 강도사 부목사 부임 (4)
김광선 장로 취임
최익진, 강대규, 주형탁, 노해운 안수집사 임직 (6.9)
손두환 목사 유학차 사임 (7)
제12대 장동진 목사 취임 (8)
박갑주 장로 임직 (12.12)
황애덕 여전도사 부임
1957
김광선 장로 취임
최익진ㆍ강대규ㆍ주형탁ㆍ노해운 안수집사 임직 (6.9)
건축위원회 구성 (위원장: 최준섭 장로, 공사현장감독: 박갑주, 주형탁 집사) (6.15)
박종삼 목사 이임 (8.4)
9월 첫째 주일부터 손두환 목사가 사역을 시작
제11대 손두환 목사 위임식, 박갑주 장로 임직 (12.15)
1956
임용주 조사(전도사) 부임 (1월), 사임(3월말)
강희서 전도사 부임(4월), 사임(6월말)
박종삼 목사 사임 (7월경)
김화남 여전도사 사임 (12월)
1955
미국 남장로교 선교회로부터 양림동 92-10의 교회당 부지를 기증 받아 건평 183평의 현교회당 기공 (5.4)
이봉환 장로 목포 양동교회로 이명 (7.24)
박종삼 목사를 위임목사로 청원하기로 하다 (8.14)
1954
김준곤 목사 사임 (1.18)
박종삼 목사 부임, 위임식 (3)
박두복, 황태봉 장로 임직
이봉환 장로 취임
김재진, 박갑주, 정도동, 박철주 안수집사 임직 (4.15)
미국 남장로교 고허번(H. A. Codington) 장로(광주기독병원장) 출석
1953
김지석 목사 사임 (2)
제9대 김재석 목사 부임 (3.13)
본 교단을 떠나 설립한 기독교 장로회에 김재석 목사와 함께한 교인들은 남고, 본 교단을 고수하는 장맹섭, 김기열, 최준섭 장로를 중심한 대다수의 교인들이 오원기념각에 모여 예배드리기 시작 (6.14)
김준곤 목사(후에 한국대학생 선교회 창설)가 임시당회장을 맡다 (7월말 혹은 8월초)
1951
제8대 김지석 목사 부임 (3)
장신애 여전도사 부임
1950
6·25동란 중 박석현 목사(부인 김귀남, 아들 박원택)는 진도로 피난하였다가 광주로 돌아오던 중, 장모 나옥매 전도사가 시무하는 영암군 학산면 상월리 수해교회에서, 당시 찬송가 79장(피난처 있으니…)을 부르면서 장모를 포함한 교우 50여 명과 함께 전가족 순교하다 (9.27)
최순덕 여전도사 부임
1949
도양술 목사 장로회 신학교 교수로 이임 (3)
제7대 박석현 목사 부임 (9)
1947
김창국 목사 사임 (9월경)
제6대 도양술 목사 취임 (10.5)
1946
도양술 부목사 부임 (4)
홍승애 전도사 부임
1945
해방과 함께 제5대 김창국 목사 재부임 (10월경)
당회원 김기열, 장맹섭, 최준섭, 한종구, 문천식 시무
1943
일제에 의해 광주시내의 교회가 하나로 통폐합
김창국 목사 강제 사임
광주 교구장에 정경옥 목사 부임
백영흠, 조아라, 김화남 전도사 시무
금정교회는 사무실로, 예배는 본 교회와 중앙교회에서 드림
조일환, 이윤수, 문천식 장로 임직 (5)
1942
김창국 목사 양림교회 근속 20주년(1922~42) 기념식 (11.15)
1937
김윤식 장로 취임
신사참배 반대로 본 교회 청년들이 수감되어 고문을 당하고 벌금형을 받다 (김현승, 백영흠, 문안식, 정인세, 강태민, 이현수, 홍성철, 전영수, 최기영, 문천식)
1936
조선예수교장로회 제 25회 총회가 본교회당에서 개최 (9.11~19)
1935
김창국 목사 성역 20주년
양림교회 시무 14주년 기념식 (4)
선신애 기념관 신축 (10)
1934
유치원 신축
1929
김승찬, 조형률 장로 임직. (1929-1934(?))
1928
신도인 장로 임직
주형옥, 장남규, 김승찬 집사 장립 (4)
김기열 장로 임직 (11)
1926
교회당 60평 건축공사 완공 (4)
헌당식 (9.26)
본 교회 출석 미국 남장로교 서로득(M. L. Swinehart) 장로, 구애라(A. McQueen) 교장(수피아여학교 교장 역임), 서부인(F. E. Straeffer) 선생 등 여러 선교사들이 건축에 협력함
1925
미국 남장로 교회 선교회로부터 양림동 290번지 400여 평을 교회당 신축 부지로 기증 받고 기공예배 (4)
1924
전남노회 임시노회는 양림교회와 금정교회의 분립을 허락 (9.30)
당회장 김창국 목사와 장로 5인 중 4인(홍우종, 장맹섭, 김강, 최병준)과 대부분의 교인(300여 명)이 양림동 오원기념각에서 예배드림 (10.5)
한편 금정교회는 “금정교회 제1회 당회록”(1924.10.5 하오 4시)이 말하는 대로 당회와 교회가 출발하다(당회장 최흥종 목사). 부흥회를 개최하고 교회당 건축을 위해 2,546원 10전을 헌금.(11.24, 당시 평균 월급은 5원) - 양림·금정 합동 부흥회 (11.26 - 12.9)